🧐 인구주택총조사란?
-
인구주택총조사는 한 국가의 모든 사람과 거처(주택)에 대해 일정 시점에 한 번 조사하는 국가기본통계조사입니다.
-
우리나라는 1925년부터 조사해 온 긴 역사를 가지고 있어요.
-
조사 결과는 정부의 인구·주택 정책 수립, 지역개발, 복지지원, 주택공급 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.
📅 2025 조사, 어떤 점이 새로울까?
-
2025년은 센서스 실시 100년이 되는 해라 의미가 더 깊어요.
-
조사항목 개선: “가족 돌봄 시간”, “결혼 계획·의향”, “가구 내 사용 언어”, “한국어 실력” 등 사회변화를 반영한 신규 항목이 추가됐어요.
-
조사 방식 고도화: 모바일·PC 인터넷 응답, 전화조사, 현장 방문이 다양한 조사 방법으로 병행됩니다.
-
개인정보보호 강화: 조사 자료는 통계법에 따라 암호화 및 비식별 처리되어 안전하게 관리됩니다.
✅ 왜 참여가 중요할까?
-
정책 기반 마련: 조사 결과는 인구 구성 변화, 주택·거처 형태, 가구 형태 등 다양한 분석에 활용돼요.
-
지역·지방자치단체 운영: 예를 들어 주택보급률, 저출산·고령화 대응, 주거환경 개선 등의 정책 설계에 핵심 데이터가 됩니다.
-
기업·연구 활용: 민간 기업, 학계, 연구기관에서도 이 데이터를 활용해 시장 분석, 학술 연구, 사업 전략을 수립해요.
📝 조사 방식과 응답 절차
-
인터넷 및 모바일 조사: 10월 22일부터 시작,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참여 가능.
-
전화조사/예약조사: 콜센터(080‑2025‑2025) 운영, 원하는 시간에 참여 가능하도록 지원돼요.
-
현장 방문조사: 사전 응답이 없는 가구에 대해 방문조사가 진행됩니다.
🧐 조사 참여 전 알고 있어야 할 것
-
주민등록된 거처에서 한 가구당 1번 응답원칙이 있으며, 외국인 거주 가구도 포함될 수 있어요.
-
문항 중 일부는 행정자료로 대체되어 있어 응답 부담이 예전보다 줄어든 부분이 있습니다.
-
응답 내용은 통계 목적 외 사용 금지, 응답자는 법적으로 비밀보장되고 안전하게 처리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