은행별 실제 금리 제안 사례 데이터를 공식 공시가 아닌 여론 / 비교 정보 기반으로 찾아봤는데요, “특정 은행명 + 금리”가 확정된 정보는 공개된 게 많지 않아서 참고용으로 정리해드릴게요. 실제 대출 상담할 때 은행마다 조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하셔요.
은행/ 출처 | 대출 종류 | 제안 금리 범위 | 특징 / 우대 조건 |
정부 정책자료 | 버팀목 특례 (전세자금) | 약 1.1% ~ 3.0% | 전세보증금, 보증금 비율, 임대지역 따라 조건 달라짐 |
비교 커뮤니티 / 정보사이트 | (일반 시중은행 예상) | “일부 은행들에서 약 0.5%~1% 더 낮은 금리 가능하다”는 후기가 있음 | 우대 조건 (청약저축, 전자계약, 추가 출산 등) 충족 시 혜택 있음 |
LH / 마이홈 공식 | 디딤돌 구입 특례 | 1.8% ~ 4.5% | 기간, 소득 구간, 생애 최초 여부, LTV 등 조건에 크게 영향 받음 |
정부 정책자료 | 디딤돌 특례 (구입대출) | 약 1.6% ~ 3.3% | 소득 수준 + 대출 기간에 따라 차등. 특례금리 5년 + 우대 조건 다양함 |
* 금리는 ‘특례 금리 + 우대금리’ 조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 가능성이 있는 최소~최대 범위. 실제 적용 금리는 개인 신용, 계약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.
🔍 팁: 은행별 금리 비교할 때 체크해야 할 요소
-
우대금리 항목: 청약저축 가입, 전자계약, 추가 자녀, 자동납부 등
-
대출 기간: 10년, 20년, 30년 등 기간 길면 금리 살짝 높을 수 있음
-
LTV / DTI / DSR 조건: 수도권 여부, 대출금액 비율, 기존 부채 여부에 따라 은행마다 엄격도 다름
-
취급 은행: 모르고 대출 신청했다가 취급 안 하는 은행이면 시간 낭비됨. 우리·신한·KB·농협·하나 등 대형 은행 대부분 취급함
-
시행 시점 및 예산 소진 여부: 정책성 대출은 예산 제한 있을 수 있어서, 조건 맞으면 빠르게 움직이는 게 유리함